여러 응급 상황에서 신속한 조치는 목숨을 살리고 후유증을 줄입니다. 긴박한 상황에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을 미국 건강 매체 ‘프리벤션’이 정리했습니다.
◆코피 = 고개를 뒤로 젖히면 피가 식도로 넘어간다고 합니다. 메스꺼울 뿐입니다. 코피가 날 땐 고개를 살짝 앞으로 숙이고 콧방울을 쥔 채 입으로 숨을 쉽니다. 10분 정도 해야 제대로 지혈이 된다고 합니다. 15분이 지나도록 피가 멎지 않으면 병원을 찾는 게 좋습니다.
◆화상 = 옛날 옛적 서양은 버터를, 한국은 된장을 발랐습니다. 모두 잘못된 대처입니다. 2차 감염으로 치료를 지연시키고 흉터가 더 깊어진다고 합니다. 화상을 입은 직후엔 연고, 바셀린 등도 좋지 않습니다. 환부의 열을 붙잡아두고 2차 감염 위험이 크다고 합니다. 흐르는 찬물로 20분 정도 피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고 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흐르는 물로 응급조치를 취한 어린이 화상 환자는 피부 이식까지 갈 위험이 40% 줄었습니다.
◆염좌 = 발목 등을 접질렸을 땐 ‘선 냉찜질, 후 온찜질’입니다. 부상 직후 1~2일은 하루에 4~8회, 한 번에 20분씩 얼음찜질을 해야 붓기와 염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삔 부위를 높이 올려 피가 쏠리지 않게 하면 좋습니다. 이부프로펜 계열 진통제를 먹으면 통증과 염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부상 후 2~3일 후엔 온찜질이 좋습니다. 혈액 순환이 활발해져 치유가 빨라진다고 합니다.
◆저체온증 = 추운 겨울에만 걸린다고 생각하면 오산입니다. 영상의 기온이거나 심지어 실내에서도 걸릴 수 있습니다. 몸의 중심 체온이 섭씨 35도 이하로 떨어지면 저체온증입니다. 겨울에 더 흔하지만, 바람이 많이 부는 곳에 장시간 노출될 때 걸릴 수 있습니다. 물은 공기보다 열전도가 20배 이상 빠르므로 몸이 젖은 상태를 오래 방치하면 위험하다고 합니다.
◆심폐소생술 = 경험 없는 사람이 하면 위험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안 하는 것보다 시도하는 것이 낫다고 합니다. 토머스 제퍼슨대 병원 응급의학과 션 맥 갠 박사는 “심폐소생술을 배운 적이 없더라도 호흡이 멎은 이를 발견한다면 팔을 쭉 펴고 손꿈치로 가슴을 압박해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5cm 깊이로 1초에 두 번꼴 누릅니다. ‘아기 상어’ 같은 빠른 노래와 비슷한 박자입니다.
2022.01.19 - [분류 전체보기] - 갑상선에 도움이 되는 음식들
2022.01.16 - [분류 전체보기] - 수면과 기억력의 연관성
2022.01.13 - [분류 전체보기] - 올리브유 한 스푼의 건강한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