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누구에게나 걱정은 있습니다. 그러나 제때 털지 못하고 수심에 잠긴 상태로 시간을 보낸다면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마음속 걱정은 어떤 식으로 몸에 나타날지 미국 건강 미디어 ‘웹엠디’가 정리했습니다.
◆ 근육 = 근심이 많으면 목이 뻣뻣해집니다. 어깨도 딱딱하게 굳습니다. 이는 편두통이나 긴장성 두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깊은 호흡, 요가나 마사지로 몸과 마음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도 효과가 없고 걱정 때문에 일상이 흔들릴 정도라면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 신경계 = 몸의 각 부분은 뇌, 척수, 신경, 뉴론 등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락을 주고받는다고 합니다. 걱정이 쌓이면 이 체계가 스트레스 호르몬을 방출한다고 합니다. 그 결과 호흡이며 심장 박동이 빨라지고 혈당이 상승한다고 합니다. 혈액은 팔과 다리로 집중된다고 합니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심장, 혈관, 근육 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면역력 = 고민에 싸인 사람은 감기에 걸리기 쉽습니다. 면역력이 떨어져 몸에 침입한 병원체를 제대로 퇴치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같은 이유로 독감이나 헤르페스, 대상포진 등 바이러스성 질병에도 취약하다고 합니다.
◆ 심장 = 걱정에 사로잡혀 좌불안석의 상태가 되면 심장이 빨리 뛴다고 합니다. 그런 상황이 반복되면 혈관에 염증이 생긴다고 합니다. 동맥벽이 굳고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가 올라갑니다. 고혈압이나 심장마비, 뇌졸중 등을 겪게 될 위험도 커진다고 합니다.
◆ 장 = 신경이 예민해지면 위에 통증을 느끼기 쉽습니다. 구역질이 나고 심하면 토가 올라옵니다. 영향을 받기는 장도 마찬가지입니다. 불안과 초조는 변비 혹은 설사를 부릅니다. 예를 들어 시험만 보려고 하면 배가 아픈 이들이 있습니다. 운동이든 명상이든 마음을 다스릴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2022.01.17 - [분류 전체보기] - 맛있는 두부 건강하게 먹는 법
맛있는 두부 건강하게 먹는 법
우리가 좋아하는 흔한 건강식을 꼽는다면 두부를 들 수 있습니다. 그대로 생으로 먹거나 찌개, 국에 넣어 먹는데요. 부침이나 샐러드 등 여러 요리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콩으
gdbaby.tistory.com
2022.01.16 - [분류 전체보기] - 수면과 기억력의 연관성
수면과 기억력의 연관성
분명 아는 얼굴인데 가물가물 이름이 떠오르지 않는 일이 나이를 먹을수록 잦아집니다. 이름을 잘 외는 방법이 있을까요? 잠이 그 열쇠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미국 노스
gdbaby.tistory.com
2022.01.13 - [분류 전체보기] - 생생한 꿈의 이유
생생한 꿈의 이유
잠에서 깨면 꿈은 잊히는 게 정상입니다. 뇌가 꿈을 장기기억으로 저장하지 않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잠을 막 깬 비몽사몽 상태에서는 기억나는 것도 같지만, 완전히 정신이 들
gdbab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