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배추는 흔히 김장배추가 익숙한데요. 하지만 소금에 절이지 않은 생배추 그대로 국이나 된장국에 넣어 먹는 경우도 많습니다. 배추김치는 절이는 방식 때문에 짠맛이 단점으로 꼽히지만 생배추는 자연 그대로의 맛을 살릴 수 있습니다. 배추의 건강효과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 장 활동 촉진, 변비 예방에 도움… 다이어트 지원
배추는 수분함량이 약 95%로 매우 높습니다. 원활한 이뇨작용을 도와주며, 열량은 낮다고 합니다. 식이섬유 함유량은 많아 장의 활동을 촉진하고. 변비와 대장암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다이어트할 때도 좋습니다. 고기·생선 등 구이 음식을 먹을 때 배추를 곁들이면 장 건강에 이롭습니다. 다만 만성 대장질환이 있는 사람은 배추를 익혀서 먹는 것이 좋습니다. 배추는 칼슘, 칼륨, 인 등 무기질도 많이 들어 있습니다.
◆ 배추와 양배추의 시너지 효과… 암세포 증식 억제
배추와 양배추 추출물은 생리활성 물질이 많아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한국식품영양학회지). 배추와 양배추에 들어 있는 항산화물질인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가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는데요. 배추와 양배추 추출물을 간암, 위암 등 암세포에 처리하고 배양하는 시간이 24시간에서 48시간으로 길어질수록 암세포 성장 억제 효능도 늘어났습니다.
배추는 흔히 김장배추를 떠올린다. 하지만 소금에 절이지 않은 생배추 그대로 국이나 된장국에 넣어 먹는 경우도 많다. 배추김치는 절이는 방식 때문에 짠 맛이 단점으로 꼽히지만 생배추는 자연 그대로의 맛을 살릴 수 있다. 배추의 건강효과에 대해 알아보자.
◆ 비타민 C 풍부… 열을 가해도 손실 적어
국립농업과학원에 따르면 배추 겉의 푸른 잎에는 비타민 C가 많이 들어 있다. 배추의 비타민 C는 열을 가해도 손실률이 낮아 국을 끓여 먹어도 비타민 C를 제대로 섭취할 수 있다. 감기 예방과 면역력 증진에 효과가 있다. 특히 배추의 푸른 잎에는 비타민 A의 이전 물질인 베타카로틴이 많아 면역력 강화, 폐·기관지 보호에 도움을 준다. 안의 심 부분은 단맛이 강하므로 생으로 썰어 무치거나 국을 끓여 먹어도 좋다.
◆ 잎의 두께 얇고 부드러운 것 선택
배추를 구입할 때는 잎의 두께와 잎맥이 얇아 부드러운 것을 고릅니다. 뿌리 부위와 줄기 부위의 둘레가 비슷하고 흰 부분을 눌렀을 때 단단하고 수분이 많은 것이 싱싱하다고 합니다. 속의 잎은 연 백색이면서 뿌리가 완전히 제거된 것이 좋습니다. 각 잎이 중심부로 모이면서 잎 끝이 서로 겹치지 않는 것이 품질이 좋은 것이라고 합니다.
◆ 냉장고에 세워 보관하면… 쉽게 물러지지 않아
이미 씻었거나 잘라 놓은 배추를 빨리 사용하지 않으면 무르거나 시들게 됩니다. 한꺼번에 사용하지 않을 배추는 밑동만 잘라 놓고 겉에서부터 한 잎씩 필요한 만큼 잘라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배추는 기본적으로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한다고 합니다. 키친타월이나 종이에 싸서 냉장고에 세워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워두면 금세 물러지는 것을 늦출 수 있습니다.
2022.01.08 - [분류 전체보기] - 호흡기는 괴로워 코로나 미세먼지 겨울 건조 찬바람
호흡기는 괴로워 코로나 미세먼지 겨울 건조 찬바람
차가운 겨울철은 건조하고 실내외 온도차가 커서 신체 저항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 때문에 호흡기가 약하거나 비염, 만성 기침, 천식이 있는 사람들은 고생하고 있는데요. 신
gdbaby.tistory.com
2022.01.09 - [분류 전체보기] - 번아웃증후군 복통 비관 불면 비만 감기 무기력 피로
번아웃증후군 복통 비관 불면 비만 감기 무기력 피로
번아웃 증후군이란 의욕적으로 일에 몰두하던 사람이 극도의 신체적 · 정신적 피로감을 호소하며 무기력해지는 현상입니다. 포부 수준이 지나치게 높고 전력을 다하는 성격의
gdbaby.tistory.com
2022.01.09 - [분류 전체보기] - 입냄새 구취 잇몸질환 위역류성 편도결석 치실 축농증
입냄새 구취 잇몸질환 위역류성 편도결석 치실 축농증
구취는 나도 모르게 풍깁니다. 아주 친한 사람이어야 구취 얘기를 꺼낼 수 있습니다. 업무 관계로 만난 사람은 얘기하기가 무척 민망합니다. 용모가 아무리 단정해도 이미지 추
gdbaby.tistory.com